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만성 통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만성 통증은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로, 국제통증연구학회(IASP)는 생물학적 가치가 없는 통증으로 정의한다. 만성 통증은 원인에 따라 만성 원발성 통증, 만성 암 통증, 만성 외상 후 또는 수술 후 통증, 만성 신경병성 통증, 만성 두통 및 안면 통증, 만성 내장 통증, 만성 근골격계 통증 등으로 분류된다. 통증 유발 기전에 따라 통각수용성 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및 환경적 원인으로 발생한다. 치료는 비약물적 치료(약물, 심리 치료, 운동 등), 약물적 치료(비오피오이드, 아편유사제 등), 자가 관리(운동, 식이 요법, 명상 등)를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만성 통증은 수면 장애, 우울증, 사회적 고립, 인지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증 관리 - 침술
    침술은 폄석에서 유래한 침을 사용하여 경혈을 자극하는 고대 의술로, 통증 완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학적 근거 부족 논란이 있으며, 안전을 위해 멸균된 침 사용 및 숙련된 시술이 중요하다.
  • 통증 관리 - 군발 두통
    군발 두통은 극심한 일방적 두통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눈 주위 통증과 자율신경계 증상을 동반하며, 재발의 규칙성 때문에 "자명종 두통"이라고도 불리고, 삽화성과 만성 형태로 나뉘며, 시상하부 기능 이상과 유전적 요인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만성 통증
일반 정보
질병 분류-
진료 분야통증 전문의
신경학
심리학
증상예상 회복 기간보다 오래 지속되는 통증
발병 시기모든 연령대
지속 기간3개월에서 수년
원인
원인고혈당

신경 분화의 유전적 장애
조직 손상
신경 질환
바이러스성 질환
위험 요소
위험 요소당뇨병

심장병
진단
진단 방법병력
임상 검사
설문지
신경 영상
감별 진단위궤양
골절
탈장
척수의 신생물
치료
약물 치료비마약성: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나프록센
NSAIDs
올란자핀
마약성:
모르핀
코데인
엔도르핀
부프레노르핀
역학
발병 빈도국가별 8%에서 55.2%

2. 분류

만성 통증은 원인과 기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크게 두 가지 분류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통증을 분류하는 방식에 따른 분류이며, 다른 하나는 국제통증연구학회(IASP) 및 ICD-11의 분류이다.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의 차이점은 아래 표와 같다.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의 차이
급성 통증만성 통증
원인존재함존재하거나 회복됨
신체 소견염증이나 손상 등없는 경우가 많음
감정 변화거의 관계없음깊이 관련됨
증상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불안, 고통스러운 표정 등피로, 수면 장애, 식욕 감퇴, 미각 감퇴, 우울증 상태, 쉽게 화를 내는 등
통증의 느낌정상증강되거나 평소 느끼지 못하는 자극을 통증으로 느낌
치료소염 진통제가 효과적임소염 진통제가 효과 없는 경우가 많음



만성 통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52]


  • 장기간에 걸쳐 유해 자극이 계속되는 손상 수용성 통증
  • 초기 신경 손상이 소실된 후 장기간 지속되는 신경병성 통증(말초성·중추성)
  • 손상 수용성 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이 혼재하는 혼합성 만성 통증
  • 통증의 원인이 되는 조직 병변이 존재하지 않는 자발성 만성 통증
  • 심인성 통증 (비판이 있으며, 섬유근육통 오진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됨)

2. 1. 국제통증연구학회(IASP) 및 ICD-11 분류

국제통증연구학회(IASP)는 만성 통증을 생물학적 가치가 없는 통증으로 정의하며, 정상적인 조직 치유 후에도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한다.[5][6]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판(ICD-11)은 만성 통증에 대해 다음과 같이 7가지 범주를 제안한다.[162]

  • 만성 원발성 통증: 다른 통증 상태로는 설명할 수 없는 신체의 한 부위 이상에서 3개월 동안 지속되는 통증.
  • 만성 암 통증: 암 또는 치료와 관련된 내장(내부 장기), 근골격 또는 뼈 통증.
  • 만성 외상 후 통증: 감염이나 기존 상태를 제외하고 부상 또는 수술 후 3개월 동안 지속되는 통증.
  •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체성 감각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통증.
  • 만성두통 및 구강안면통증: 머리나 얼굴에서 발생하며 3개월 동안 50% 이상 지속되는 통증.
  • 만성 내장 통증: 내부 장기에서 발생하는 통증.
  • 만성 근골격계 통증: 뼈, 근육, 관절 또는 결합 조직에서 발생하는 통증.

2. 2. 통증 기전에 따른 분류

만성 통증은 통증 유발 기전에 따라 통각수용성 통증과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나눌 수 있다.[163]

통각수용성 통증은 염증이나 손상된 조직에 의해 유발되며, 특수 통증 센서인 통각수용기를 활성화한다.[163] 통각수용성 통증은 다시 표재성과 심부성으로 나뉘며, 심부 통증은 심부 체성 통증과 내장성 통증으로 나뉜다.[164] 표재성 통증은 피부나 표재성 조직의 통각수용기가 활성화되어 발생한다. 심부 체성 통증은 인대, 힘줄, 뼈, 혈관, 근막, 근육의 통각수용체가 자극되어 발생하며, 둔하고 아프며 국소화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내장성 통증은 내장(장기)에서 발생하며, 국소화가 잘 될 수도 있지만 위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여러 내장 영역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기면 연관통을 유발하기도 한다.[164]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163] 신경병증성 통증은 말초신경병증성 통증과 중추신경병증성 통증으로 나뉜다.[166] 말초신경병증성 통증은 말초신경계에서 시작되며, 화끈거림, 저림, 전기적, 찔림, 핀과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167] 중추신경병증성 통증은 뇌 또는 척수에서 시작된다.[166]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통계분류 11차 개정판(ICD-11)에서는 만성 통증을 7가지 범주로 분류한다.[162]

만성 통증의 분류 (ICD-11)
범주설명
일차성 만성 통증신체 한 곳 이상에서 3개월 이상 지속되며, 다른 통증 상태로는 설명할 수 없는 통증[162]
만성 암 통증 또는 암 치료와 관련된 내장, 근골격, 뼈 통증[162]
만성 외상 후 통증부상이나 수술 후 3개월 동안 지속되는 통증 (감염이나 기존 상태 제외)[162]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체성 감각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통증[162]
만성 두통 및 구강안면 통증머리나 얼굴에 3개월 동안 50% 이상 발생하는 통증[162]
만성 내장 통증내장 기관에서 발생하는 통증[162]
만성 근골격계 통증뼈, 근육, 관절, 결합 조직에서 발생하는 통증[162]


3. 원인

만성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경우에 따라서는 뉴런 분화를 방해하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통증 역치가 영구적으로 낮아져 만성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19]

만성 통증의 병태생리학적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이론[20][21]이 제시되고 있지만, 동일한 병리적 상태가 항상 만성 통증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설명하지 못한다. 환자의 근위 신경 압박(특히 말초 신경)에 대한 해부학적 소인이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후근 신경절(DRG) 수준의 근위 신경 병변은 통증 부위의 자세 보호와 그에 따른 동일한 척수 영역에서의 신경 압박을 유발하여 만성 통증의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근위 신경 병변 진단의 어려움[22]은 만성 통증에 대한 이론적 난제를 설명할 수 있다.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의 차이
급성 통증만성 통증
원인존재함존재하거나 회복됨
신체 소견염증이나 손상 등없는 경우가 많음
감정 변화거의 관계없음깊이 관련됨
증상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불안, 고통스러운 표정 등피로, 수면 장애, 식욕 감퇴, 미각 감퇴, 우울증 상태, 쉽게 화를 내는 등
통증의 느낌정상증강되거나 평소 느끼지 못하는 자극을 통증으로 느낌
치료소염 진통제가 효과적임소염 진통제가 효과 없는 경우가 많음



만성 통증은 외상 등에 따른 급성 통증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급성 통증에서 만성 통증으로 이행하더라도, 말초 조직에서 발생한 병태가 에서 경험하는 통증에 관여한다. 말초 조직이 손상되면, 사이토카인이나 물질 P(SP)와 같은 신경펩타이드의 활성화에 의해 손상 부위가 부종된다. 염증 상태가 형성되고, 육아 조직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회복과 함께, 손상 조직에서 섬유아세포 등이 활성화되어 섬유화나 반흔화된다. 반흔 조직이 통증의 발생 및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

만성 통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장기간에 걸쳐 유해 자극이 계속되는 손상 수용성 통증
  • 초기 신경 손상이 소실된 후 장기간 지속되는 신경병성 통증(말초성·중추성)
  • 손상 수용성 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이 혼재하는 혼합성 만성 통증
  • 통증의 원인이 되는 조직 병변이 존재하지 않는 자발성 만성 통증
  • 심인성 통증


단, 마지막 심인성 통증에 대해서는 비판이 있으며, 일본에서 이 질병 개념이 널리 퍼져 있는 것이 일본에서 섬유근육통의 오진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152]

3. 1. 병태생리학

지속적인 통증 신호 전달은 통증 감김 현상을 일으켜 통증 신호가 전달되는 임계값을 낮춘다. 또한, 비통각수용성 신경 섬유가 통증 신호에 반응하고 생성하며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통증 신호를 생성하는 신경 섬유는 C-섬유로, 전도율이 느리고 오랜 시간 지속되는 고통스러운 감각을 유발한다.[168] 만성 통증에서 이 과정은 일단 확립되면 되돌리거나 중지하기 어렵다.[169] 어떤 경우에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신경 분화가 방해를 받아 통증 역치가 영구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170]

MRI 연구는 만성 통증 환자의 뇌에서 휴식 중에도 통증 처리와 관련된 영역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기능적 연결성을 보여준다.[171][172][173] 지속적인 통증은 회백질 손실을 유발할 수 있지만, 통증이 해결되면 회복될 수 있다.[174][175]

척추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추간판이 손상되고 좌골신경이 활성화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신경가소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만성 통증의 경우 신체의 신체 표현은 말초 및 중추 감작에 따라 부적절하게 재구성된다. 이것은 이질통이나 통각과민을 유발할 수 있다. 만성 통증 환자의 EEG는 변화된 뇌 활동을 보여주는데, 특히 상대적 베타 활성은 증가하고 상대적 알파 활성은 감소하며 세타 활성은 감소한다.[176]

지속적인 통증 신호의 활성화 및 전달 과정에서 신체는 통증 완화를 위해 프로스타글란딘을 방출하고 해당 부위의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킨다. 프로스타글란딘 분비는 참을 수 없는 만성 통증을 유발한다.[23] 지속적인 활성화 상태에서는 통증 신호의 후근 전달이 통각 과민화 현상을 일으켜 통증 신호 전달의 역치를 낮춘다. 또한 비통각 수용성 신경섬유가 통증 신호에 반응하여 생성하고 전달하게 할 수 있다.[24][25]

만성 통증이 있는 경우,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해 신체의 체절성 배열이 비정상적으로 변화되어 이통증 또는 통각과민을 유발할 수 있다.[27] 만성 통증 환자의 뇌파는 통증으로 인해 뇌 활동과 시냅스 가소성이 변화하며, 특히 베타파의 상대적 활동이 증가하고 알파파와 세타파가 감소함을 보여주었다.[27]

뇌에서의 도파민 분비 조절 문제는 만성 통증, 불면증, 주요 우울 장애 사이의 공통된 기전으로 작용하여 불쾌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29] 별아교세포, 미세아교세포, 위성교세포도 만성 통증에서 제 기능을 상실한다. 미세아교세포의 활동 증가, 네트워크 변화, 케모카인사이토카인 생성 증가는 만성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23][30] 또한 별아교세포가 뉴런의 흥분성을 조절하는 능력을 상실하고 통증 회로에서 뉴런의 자발적 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30]

만성 통증은 외상 등에 따른 급성 통증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급성 통증에서 만성 통증으로 이행하더라도 말초 조직에서 발생한 병태가 에서 경험하는 통증에 관여한다. 말초 조직이 손상되면, 사이토카인이나 물질 P와 같은 신경펩타이드 활성화에 의해 손상 부위가 부종된다. 염증 상태가 형성되고, 육아 조직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회복과 함께, 손상 조직에서 섬유아세포 등이 활성화되어 섬유화나 반흔화된다. 반흔 조직이 통증 발생과 유지에 관여한다.

3. 2. 기타 원인

만성 통증은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및 환경적 원인으로 발생하며, 다음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 중추 신경계의 신경병증
  • 뇌출혈
  • 광범위한 화상과 같은 조직 손상
  •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 두통, 편두통 또는 복통(정서적, 심리적 또는 행동적 원인)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
  • 관절염과 같은 조직의 마모로 인한 기계적 통증[18]


경우에 따라서는, 뉴런 분화를 방해하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통증 역치가 영구적으로 낮아져 만성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19]

만성 통증의 병태생리학적 원인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만성 통증에 대한 많은 이론[20][21]은 동일한 병리적 상태가 항상 만성 통증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환자의 근위 신경 압박(특히 말초 신경)에 대한 해부학적 소인이 이러한 수수께끼에 대한 답일 수 있다. 후근 신경절(DRG) 수준의 근위 신경 병변은 통증 부위의 자세 보호와 그에 따른 동일한 척수 영역에서의 신경 압박을 유발하여 [https://www.frontiersin.org/files/Articles/1037376/fpain-04-1037376-HTML-r1/image_m/fpain-04-1037376-g002.jpg 만성 통증의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근위 신경 병변 진단의 어려움[22]은 만성 통증에 대한 이론적 난제를 설명할 수 있다.

4. 관리

만성 통증 관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는 학제 간 접근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통증 관리 팀에는 의료 종사자(특히 마취과 의사), 재활심리학자,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의사 보조원, 간호사 등이 포함된다.[178]

급성 통증은 보통 한 명의 의료인으로 해결되지만, 만성 통증은 치료 팀의 협력이 필요하다.[179][180][181] 여러 유형의 만성 통증이 완전히, 장기적으로 관해되는 경우는 드물다.[182]

만성 통증은 신체, 뇌, 척수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가 어렵다. 역학 연구에 따르면 여러 국가에서 8~11.2%의 사람들이 만성 전신 통증을 겪고 있다.[37]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의 차이
급성 통증만성 통증
원인존재함존재하거나 회복됨
신체 소견염증이나 손상 등없는 경우가 많음
감정 변화거의 관계없음깊이 관련됨
증상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불안, 고통스러운 표정 등피로, 수면 장애, 식욕 감퇴, 미각 감퇴, 우울증 상태, 쉽게 화를 내는 등
통증의 느낌정상증강되거나 평소 느끼지 못하는 자극을 통증으로 느낌
치료소염 진통제가 효과적임소염 진통제가 효과 없는 경우가 많음


4. 1. 비약물적 치료

만성 통증의 비약물적 치료로는 우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비오피오이드 진통제를 고려할 수 있다.[42][43]

신경병증성 통증에는 삼환계 항우울제,[46]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항경련제 등이 아편유사제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38][39][44][45][47]

인지 행동 치료,[52][53] 수용 및 헌신 치료,[54][55] 마음챙김 기반 통증 관리(MBPM)[57][58][59] 등의 심리 치료는 삶의 질을 개선하고 통증 간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운동은 만성 통증을 줄이는 방법으로 제시되었으며, 만성 통증 환자에게 부작용이 거의 없다.[62]

통증유발점 주사, 신경 용해 차단, 방사선 치료 등 중재적 통증 관리도 고려할 수 있다.[51]

4. 2. 약물적 치료

비약물적 치료로 효과가 없는 경우, 오피오이드 진통제를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다.[205] 상당한 이점이 발생하지 않으면 중단하는 것이 좋다.[205] 오피오이드를 복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사용을 중단하거나 줄이면 통증을 포함한 결과가 개선될 수 있다.[206] 만성 통증이 있는 일부 사람들은 아편유사제 치료의 혜택을 받고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일부는 치료로 인해 피해를 입다.[207] 가능한 피해에는 성호르몬 생산 감소, 저고나드즘, 불임, 면역 체계 손상, 노인의 낙상 및 골절, 신생아 금단 증후군, 심장 문제, 수면 장애 호흡, 아편유사제 유발 통각과민, 신체적 의존성, 중독, 남용 및 과다 복용이 있다.[208][209]

처음에 권장되는 노력은 비오피오이드 기반 요법이다.[205] 의약품을 사용한 만성 통증의 비오피오이드 치료에는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183] 또는 NSAID가 포함될 수 있다.[184]

통증이 조직 손상의 결과인지 신경병증(신경계 손상 또는 기능 장애로 인한 통증)인지에 따라 다양한 기타 비오피오이드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암 통증이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상태의 결과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인한 만성 통증이 아편유사제로 가장 잘 치료된다는 제한된 증거가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의 경우,[185][186][187][188] 삼환계 항우울제,[189]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190]항경련제와 같은 다른 약물이 아편유사제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190] 올란자핀과 같은 일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도 효과적일 수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매우 초기 단계에 있다.[191] 만성 통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경구 피임약과 같은 호르몬 약물이 도움이 될 수 있다.[192]

류마티스 관절염의 만성 통증의 경우, 그 원인은 염증성 통증 또는 혼합성 만성 통증이다. 이에 대해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가 효과적이지만, 신경병성 통증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신경병성 통증에는 프레가발린과 같은 약물이 사용된다.

4. 3. 자가 관리

만성 통증에는 자가 관리가 중요하다고 여겨지며, 다음은 만성 통증 환자를 위한 자가 관리에 대한 근거 수준과 권장도이다.[177]

자가 관리의 근거 수준과 권장도
근거 수준권장도
운동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근력 훈련)B
사고방식 (인지행동치료, 명상, 마음챙김)B
요가B
통증에 대한 이해ⅡaB
마사지(Ⅱa)C
식사(Ⅱa)C
온열 치료ⅡaC
음악ⅡaC
아로마테라피(Ⅱb)C
동물 매개 치료ⅡbC
온천(스파)B


5. 결과

만성 통증 환자는 수면 장애, 약물 및 질병 증상으로 인한 불면증을 종종 경험한다.[210] 다른 의사가 상태를 치료할 때 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높아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심한 만성 통증은 심장병과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10년 동안의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211] 신체 내분비계의 비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 등이 이러한 증가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다.[212] 만성 스트레스는 플라크가 동맥 벽(동맥경화증)에 쌓이는 속도를 증가시켜 심장 및 폐(심혈관계) 건강에 위험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11]

만성 통증 환자는 우울증 발생률이 높다.[99] 통증 악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신체 활동이 감소할 수 있으며, 통증 강도, 통증 조절, 회복력은 사회적 지지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받는다.[101]

만성 통증은 자살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107] 삶의 질 저하, 생산성 감소, 임금 감소, 다른 만성 질환 악화, 우울증, 불안, 물질 사용 장애 등을 초래한다.[18]

정신 질환은 통증 신호를 증폭시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132] 주요 우울 장애와 일반화 불안 장애는 만성 통증과 관련된 가장 흔한 동반 질환이며, 진단을 지연시킬 수 있다.[133] 만성 통증 환자는 자살 및 자살 생각 위험이 더 높다. 연구에 따르면 자살 생각이 있는 사람의 약 20%와 만성 통증 환자의 5~14%가 자살한다.[135]

6. 심리

만성 통증 환자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에서 '전환 V형'과 '신경증 삼징형' 인성 유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전환 V형은 신체 감각에 대한 과장된 걱정과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증상 반응, 감정 상태 인식 부족이 특징이다. 신경증 삼징형은 신체 감각에 대한 과장된 걱정과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증상 반응은 비슷하지만, 요구적이고 불평이 많은 경향을 보인다.[108]

신경증이 만성 통증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임상적 증거는 만성 통증이 신경증을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치료를 통해 통증이 완화되면 신경증 삼징형 및 불안 점수가 정상으로 돌아오고,[109][110][111][112] 자존감 또한 향상된다.[112]

재앙화는 통증을 과장되게 묘사하거나, 통증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거나, 무력감을 느끼는 경향으로, 통증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113] 재앙화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통증을 더 강렬하게 평가한다. 재앙화가 주의와 예상을 변화시키고 정서적 반응을 증가시켜 통증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제안이 있지만,[114] 강렬한 통증 경험 자체가 재앙화를 유발하는 측면도 있다.[11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는 만성 통증과의 동반 질환율이 높으며,[116] PTSD와 만성 통증을 함께 겪는 환자들은 통증 심각성을 더 높게 보고한다.[117][118] 만성 통증 환자는 우울증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119][120] 2017년 영국 의학 협회는 만성 통증 환자의 49%가 우울증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121]

만성 통증은 인지 기능에도 영향을 미쳐 기억력 감퇴, 주의력 저하, 과제 완수의 어려움 등을 유발할 수 있다.[122] 객관적인 검사 결과, 주의력, 기억력, 정신적 유연성, 언어 능력, 인지 과제 반응 속도 및 구조화된 과제 수행 속도 저하가 나타났다.[122] 2018년 연구 검토에서는 만성 통증 환자가 기억력, 주의력 및 처리 속도 검사에서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123]

6. 1. 성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를 통해 만성 통증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두 가지 인성 유형은 '전환 V형'과 '신경증 삼징형'이다. 전환 V형 인성은 신체 감각에 대해 과장된 걱정을 표현하고,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신체 증상을 나타내며, 우울증을 포함한 자신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증 삼징형 인성 또한 신체 감각에 대해 과장된 걱정을 표현하고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신체 증상을 나타내지만, 요구적이고 불평이 많다.[108]

일부 연구자들은 급성 통증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신경증이라고 주장하지만, 임상적 증거는 반대로 만성 통증이 신경증을 유발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치료를 통해 장기간의 통증이 완화되면 신경증 삼징형 및 불안 점수가 종종 정상 수준으로 떨어진다.[109][110][111][112] 만성 통증 환자에게서 종종 낮게 나타나는 자존감 또한 통증이 해소되면 향상된다.[112]

재앙화는 통증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알려져있다. '통증 재앙화'는 평균적인 사람보다 더 과장된 용어로 통증 경험을 묘사하거나, 통증이 발생할 때 통증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생각하거나, 경험에 대해 더 무력감을 느끼는 경향을 말한다.[113] 재앙화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보다 통증 경험을 더 강렬하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 재앙화 경향이 통증을 더 강렬하게 경험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종종 추론된다. 한 가지 제안은 재앙화가 주의와 예상을 변화시키고 통증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통증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114] 그러나 재앙화의 일부 측면은 원인이라기보다는 강렬한 통증 경험의 '결과'일 수 있다. 즉, 사람이 느끼는 통증이 더 강렬할수록 재앙화의 정의에 맞는 생각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115]

6. 2. 외상과의 동반 질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는 만성 통증과 동반 질환율이 높다.[116] PTSD와 만성 통증을 동시에 겪는 환자들은 PTSD 동반 질환이 없는 환자들보다 통증의 심각성을 더 높게 보고한다.[117][118]

6. 3. 우울증과의 동반 질환

만성 통증 환자는 우울증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119][120] 2017년 영국 의학 협회(British Medical Association)는 만성 통증 환자의 49%가 우울증을 앓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121]

6. 4.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만성 통증은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잠정적인 결론이 발표되었다. 만성 통증을 겪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억력 감퇴, 주의력 저하, 과제 완수의 어려움과 같은 인지 장애를 호소한다.[122] 객관적인 검사 결과, 만성 통증 환자는 주의력, 기억력, 정신적 유연성, 언어 능력, 인지 과제 반응 속도 및 구조화된 과제 수행 속도 저하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2] 2018년 연구 검토에서는 만성 통증 환자가 기억력, 주의력 및 처리 속도 검사에서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다.[123]

7. 사회적, 개인적 영향

만성 통증은 여러 나라에서 흔히 발생하며,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전 세계적으로 의료 자원에 큰 부담을 준다.[87][37] 유럽의 한 조사에서는 성인 5명 중 1명꼴로 만성 통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88] 미국에서는 인구의 약 35%가 만성 통증을 겪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이 장애를 경험한다.[89] 미국 국립의학원은 약 1억 1600만 명의 미국인이 만성 통증을 겪는다고 보고했다.[90][91] 캐나다에서도 5명 중 1명꼴로 만성 통증을 겪으며, 특히 여성과 원주민 공동체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94]

만성 통증은 사회적 지지 부족, 인종적 불평등, 불공정 인식, 직장 생활의 어려움 등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문제를 야기한다.

7. 1.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만성 통증 환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통증 강도, 통증 조절 및 통증에 대한 회복력은 다양한 수준과 유형의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는 결과로 간주된다. 이러한 연구의 상당 부분은 정서적, 도구적, 유형적 및 정보적 사회적 지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속적인 통증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지지를 대처 메커니즘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더 크고 더 많은 지지를 받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일부일 때 더 나은 결과를 얻는다. 조사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회 활동 또는 사회적 지지와 통증 사이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더 높은 수준의 통증은 사회 활동 감소, 사회적 지지 수준 감소 및 사회적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었다.[137][138]

7. 2. 인종적 불평등

소수 민족은 통증 치료를 받을 때 무의식적인 편견과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직면할 수 있다. 2017년의 한 연구 검토에서는 이것이 임상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139] 소수 민족은 통증 및 진통제에 대한 진단을 거부당할 가능성이 더 높고, 약물 남용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으며, 통증 전문의에게 의뢰될 가능성은 더 낮다.[140] 2010년 미시간 대학교 건강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통증 클리닉의 흑인 환자들은 백인 환자들이 받은 약물의 50%만 처방받았다.[141] 예비 연구에서는 의료 제공자들이 흑인 환자들에게 공감하는 정도가 낮고 통증 수준을 과소평가하여 치료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139][140] 또한, 소수 민족은 언어 장벽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통증 환자와 의료 제공자 간의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을 제한하여 치료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140]

7. 3. 불공정 인식

불공정에 대한 인식은 만성 통증의 심각성과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142] 통증 관련 불공정 인식은 통증 또는 부상 관련 손실의 심각성과 회복 불가능성을 반영하는 인지적 평가(예: "나는 그저 내 삶을 되찾고 싶어요")와 외부에 대한 비난과 불공정("나는 다른 사람의 과실 때문에 고통받고 있어요")으로 개념화되었다.[143] 상향식 처리/인지적 평가에 대한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이 문제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다.[144]

7. 4. 직장 생활

만성 통증은 직장 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많은 국가에서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148]

직장 내 사회적 환경은 만성 통증을 완화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 따르면 상사 등 타인의 압력으로 인한 완벽주의(사회적으로 규정된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경우, 만성 통증 환자의 죄책감과 상호 작용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148] 따라서 조직에서는 직장 내 사회적 환경과 이것이 직원들의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148]

8. 코로나19와의 관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많은 사람들의 삶을 혼란에 빠뜨렸으며, 일반 대중에게 심각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쳤다.[145] 이 팬데믹에 대한 대응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관행은 익숙한 사회적 상호 작용 패턴을 바꾸었고, 일부 심리학자들은 이를 집단적 슬픔의 시기라고 묘사한다.[146] 만성 통증 환자들은 종종 모호한 지위를 나타내며, 때때로 그들의 고통이 기존 의학의 틀 안과 밖 모두에 놓여 있다고 말한다.[147]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이 장기간의 사회적 고립과 고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만성 통증 환자들은 팬데믹 기간 동안 자신의 고통에 대한 공감을 더 많이 경험했다.[145]

참조

[1] 논문 Sports, joint injury, and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https://pubmed.ncbi.[...] 2003-10-01
[2] 논문 Sports participation, sports injuries and osteoarthriti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https://pubmed.ncbi.[...] 1999-08-01
[3] 웹사이트 Chronic Pain Syndrome Differential Diagnoses https://emedicine.me[...] 2020-01-14
[4] 웹사이트 Acute Pain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s UPMC https://www.upmc.com[...] 2024-01-24
[5] 서적 Bonica's Management of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서적 Pain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American Academy of Pain Management
[7] 서적 Advances in Chronic and Neuropathic Pain 2022-09-01
[8] 서적 Pain management: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https://books.google[...] Elsevier
[9] 논문 Chronic Pain, Psychopathology, and DSM-5 Somatic Symptom Disorder 2015-04-01
[10] 웹사이트 Terminology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https://www.iasp-pai[...]
[11] 논문 Chronic pain as a symptom or a disease: the IASP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for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 https://pubmed.ncbi.[...] 2019-01-01
[12] 논문 A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for ICD-11 2015-06-01
[13] 서적 Bonica's management of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4] 서적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descriptions of chronic pain syndromes and definitions of pain terms https://archive.org/[...] IASP Press
[15] 서적 Diagnostic Methods for Neuropathic Pain: A Review of Diagnostic Accuracy Rapid Response Report: Summary with Critical Appraisal.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2015-04-01
[16] 논문 Mechanisms and management of neuropathic pain in cancer http://www.supportiv[...] 2003-07-01
[17] 서적 Bonica's management of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논문 Chronic Pain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06-01
[19] 논문 Notch3 is necessary for neuronal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in the adult spinal cord 2014-10-01
[20] 논문 Towards a theory of chronic pain 2009-02-01
[21] 서적 Sciatica and Chronic Pai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22] 논문 Overlooked Physical Diagnoses in Chronic Pain Patients Involved in Litigation https://linkinghub.e[...] 1993-11-01
[23] 서적 Brain facts Satish Hasti Publishing House 2018
[24] 서적 Nociceptive and neurogenic pain Pharmacia & Upjon AB
[25] 논문 Chronic pain, its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issues: A review https://innovareacad[...] 2015-09-01
[26] 논문 Neurobiology of neuropathic pain: mode of action of anticonvulsants https://onlinelibrar[...] 2002
[27] 논문 Neuromodulatory approaches for chronic pain management: research findings and clinical implications
[28] 논문 Recent advances in elucidating pain mechanisms 2005-10-01
[29] 논문 The comorbidity of insomnia, chronic pain, and depression: dopamine as a putative mechanism 2013-06-01
[30] 논문 Glia and pain: is chronic pain a gliopathy? 2013-12-01
[31] 서적 Chronic pain management: the essentials https://archive.org/[...] Greenwich Medical Media
[32] 서적 Pain management: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
[33] 서적 Pain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CRC Press
[34] 논문 Management of functional somatic syndromes 2007-03-01
[35] 논문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management of chronic pain 2006-05-01
[36] 논문 Medications for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an American Pain Society/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07-10-01
[37] 논문 Chronic widespread pain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2018-01-01
[38] 논문 Nonopioid medications for pain 2015-05-01
[39] 논문 Opioids in chronic noncancer pain-are opioids superior to nonopioid analges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fficacy, tolerability and safety in randomized head-to-head comparisons of opioids versus nonopioid analgesics of at least four week's duration 2015-02-01
[40] 논문 The effectiveness and risks of long-term opioid therapy for chronic pain: a systematic review for 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thways to Prevention Workshop 2015-02-01
[41] 논문 Guideline for opioid therapy and chronic noncancer pain 2017-05-01
[42] 웹사이트 Acetaminophen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2020-06-30
[43] 논문 A turbulent decade for NSAIDs: update on current concepts of classification, epidemiology, comparative efficacy, and toxicity 2012-06-01
[44] 논문 Nonopioid drugs in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2014-06-01
[45] 논문 Pain and Cancer: A systematic review 2015-05-01
[46] 논문 Amitriptyline for neuropathic pain in adults 2015-07-01
[47] 논문 Neuropathic pain: principl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2015-04-01
[48]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Atypical Antipsychotics in Chronic Pain Management: Olanzapine Demonstrates Potential in Central Sensitization, Fibromyalgia, and Headache/Migraine 2018-06-01
[49] 논문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Chronic Pelvic Pain in Women 2017-03-01
[50] 논문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thways to Prevention Workshop: the role of opioid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2015-02-01
[51] 논문 Therapeutic ultrasound for chronic low back pain 2020-07-01
[52] 논문 Assessing the rol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back pain
[53] 논문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s an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2012-11-01
[54] 논문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fibromyalg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13-04-01
[55] 논문 Acceptance- an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a meta-analytic review https://research.utw[...]
[56] 논문 Brie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for Acute and Chronic Pain: A Systematic Review 2019-03-01
[57] 논문 A literature review of Breathworks and mindfulness intervention 2018-01-01
[58] 논문 Starting where I am: a grounded theory exploration of mindfulness as a facilitator of transition in living with a long-term condition http://eprints.white[...] 2016-10-01
[59] 논문 Psychobiological correlates of improved mental health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after a mindfulness-based pain management program 2013-03-01
[60] 논문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nd Chronic Pain Outcome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6-01
[61] 논문 Psychological therapi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and recurrent pai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8-09-01
[62] 논문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or chronic pain in adults: an overview of Cochrane Reviews 2017-04-01
[63] 논문 Patient Outcomes in Dose Reduction or Discontinuation of Long-Term Opioid Therapy: A Systematic Review 2017-08-01
[64] 논문 Opioids for chronic noncancer pain: a position pap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2014-09-01
[65] 논문 Incidence of iatrogenic opioid dependence or abuse in patients with pain who were exposed to opioid analgesic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6-01
[66] 논문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chronic pain 2011-01-01
[67] 논문 What are the benefits and harms of acetyl-L-carnitine for treatment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 2019-10-15
[68] 논문 Painful diabetic neuropathy: advantage of novel drugs over old drugs? 2009-11-01
[69] 논문 Preventing paclitaxel-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 phase II trial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2006-09-01
[70] 논문 Cognitive hypnotherapy for pain management 2012-04-01
[71] 논문 The effectiveness of hypnosis for pain relief: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85 controlled experimental trials http://gala.gre.ac.u[...] 2019-04-01
[72] 논문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 pain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2014-11-01
[73] 논문 The Effects of Cannabis Among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 Overview of General Harms: A Systematic Review 2017-09-01
[74] 논문 Medical Marijuana: Just the Beginning of a Long, Strange Trip? 2017-02-01
[75] 웹사이트 Cannabinoids for Chronic Pain https://www.ti.ubc.c[...] 2018-11-23
[76] 논문 Efficacy, tolerability and safety of cannabis-based medicines for chronic pain management –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2018-03-01
[77] 논문 Cannabis and cannabinoids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chronic noncancer pain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ntrolled and observational studies https://unsworks.uns[...] 2018-10-01
[78] 논문 The effect of Tai Chi on four chronic conditions-cancer, osteoarthritis, heart failure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http://bjsm.bmj.com/[...] 2016-04-01
[79] 논문 Tai Chi for Chronic Pain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6-04-01
[80] 논문 Acupuncture for Chronic Pain: Update of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2018-05-01
[81] 논문 Effect of acupuncture on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ry indicators for chronic prostatitis/chronic pelvic pa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2-01
[82] 논문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techniques for chronic pain 2018-04-01
[83] 논문 Effectiveness of spa therapy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9-01
[84] 논문 Herbal medicinal products or preparations for neuropathic pain 2019-04-01
[85] 논문 Effectiveness of Kinesio Taping in Patients With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2019-01-01
[86] 논문 Effectiveness of myofascial release in treat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 systematic review 2018-04-01
[87] 논문 How Prevalent Is Chronic Pain? http://iasp.files.cm[...]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2003-06-01
[88] 논문 Survey of chronic pain in Europe: prevalence, impact on daily life, and treatment https://archive-ouve[...] 2006-05-01
[89] 웹사이트 Chronic Pain Syndrome: Practice Essentials, Etiology, Patient Education https://emedicine.me[...] 2022-02-18
[90] 논문 Caring for patients with chronic pain: pearls and pitfalls 2013-08-01
[91] 서적 Relieving Pain in America: A Blueprint for Transforming Prevention, Care, Education, and Research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92] 서적 A Call to Revolutionize Chronic Pain Care in America: An Opportunity in Health Care Reform The Mayday Fund
[93] 논문 The prevalence of chronic pain in United States adults: results of an Internet-based survey 2010-11-01
[94] 웹사이트 Canadian Pain Task Force Report: June 2019 https://www.canada.c[...] 2019-08-08
[95] 서적 Sleep Disorders: Sleep disorders in multiple sclerosis
[96] 웹사이트 Drug Interactions: What You Should Know https://www.fda.gov/[...] 2020-03-17
[97] 논문 Severe chronic pai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10 year mortality. A cohort record linkage study 2010-04-01
[98] 논문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stress axis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chronic widespread pain and its antecedents
[99] 논문 Pain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2018-01-01
[100] 논문 The Link between Depression and Chronic Pain: Neural Mechanisms in the Brain 2017-06-19
[101] 뉴스 Effective Coping of Chronic Pain Varies With Psychosocial Resource Profiles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9-09-20
[102] 논문 The brain in chronic CRPS pain: abnormal gray-white matter interactions in emotional and autonomic regions 2008-11-01
[103] 논문 Beyond feeling: chronic pain hurts the brain, disrupting the default-mode network dynamics 2008-02-01
[104] 논문 Brain resting state is disrupted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2010-11-01
[105] 논문 Chronic pain ma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brain 2008-07-01
[106] 논문 Effectiv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in humans reverses abnormal brain anatomy and function 2011-05-01
[107] 웹사이트 Chronic Pain Among Suicide Decedents, 2003 to 2014: Findings From the National Violent Death Reporting System - PMC https://pmc.ncbi.nlm[...]
[108] 서적 Clinical manual of pain management in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109] 논문 Chronic pain and the measurement of personality: do states influence traits? 2006-11-01
[110] 논문 Neuroticism in relation to recovery and persisting pain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998-05-01
[111] 논문 The validity of Eysenck's neuroticism dimension within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in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The Hvidovre Ulcer Project Group http://www.hopkinsgu[...]
[112] 서적 The Challenge of Pain Penguin 1996
[113] 논문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ain Catastrophizing Scale: invariant factor structure across clinical and non-clinical populations 2002-04-01
[114] 논문 Pain catastrophizing and neural responses to pain among persons with fibromyalgia 2004-04-01
[115] 논문 The causal status of pain catastrophizing: an experimental test with healthy participants 2005-06-01
[116] 논문 Chronic Pain Types Differ in Their Reporte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re Is Consistent Evidence That Chronic Pain Is Associated with PTSD: An Evidence-Based Structured Systematic Review https://academic.oup[...] 2017-04-01
[117]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and chronic pain: mediating role of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2013-04-01
[118]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osure and chronic pain 2017-01-01
[119] 논문 The Link between Depression and Chronic Pain: Neural Mechanisms in the Brain 2017
[120] 논문 Chronic pain and depression https://www.bjaed.or[...] 2014-04-01
[121] 웹사이트 Chronic pain: supporting safer prescribing of analgesics https://www.bma.org.[...] British Medical Association 2017
[122] 논문 Cognitive impairment in chronic pain https://www.iasp-pai[...] 2019-01-06
[123]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Neurocognitive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2018-03-01
[124] 논문 Multimodal Analgesic Therapy With Gabapentin and Its Association With Postoperative Respiratory Depression https://pubmed.ncbi.[...] 2017-07-01
[125] 논문 Pregabalin and the Risk for Opioid-Related Death: A Nested Case-Control Study https://pubmed.ncbi.[...] 2018-11-20
[126] 논문 Aminotransferase elevations in healthy adults receiving 4 grams of acetaminophen dail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pubmed.ncbi.[...] 2006-07-05
[127] 논문 Acetaminophen-induced acute liver failure: results of a United States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https://pubmed.ncbi.[...] 2004-04-01
[128] 논문 Paracetamol: are therapeutic doses entirely safe? https://pubmed.ncbi.[...] 2006-12-23
[129]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opioid-induced hyperalgesia https://pubmed.ncbi.[...] 2011
[130] 논문 Treatment of chronic non-cancer pain https://pubmed.ncbi.[...] 2011-06-25
[131] 논문 Clinical importance of changes in chronic pain intensity measured on an 11-point numerical pain rating scale https://pubmed.ncbi.[...] 2001-11-01
[132] 논문 Psychological and neural mechanisms of the affective dimension of pain https://pubmed.ncbi.[...] 2000-06-09
[133] 논문 Pain assessment practices with nursing home residents https://pubmed.ncbi.[...] 2004-11-01
[134] 논문 Patients' verbal descriptions of pain and discomfort following orthopaedic surgery https://pubmed.ncbi.[...] 2002-07-01
[135] 논문 Suicidality in chronic pain: a review of th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psychological links https://pubmed.ncbi.[...] 2006-05-01
[136] 논문 Chronic Pain Among Suicide Decedents, 2003 to 2014: Findings From the National Violent Death Reporting System 2018-10-02
[137] 논문 Overview of persistent pain in older adults 2014
[138] 논문 Cancer pain and psychosocial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2002-11-01
[139]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Impact of Physician Implicit Racial Bias on Clinical Decision Making 2017-08-01
[140] 논문 Racial/ethnic disparitie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pain: psychosocial perspectives
[141] 뉴스 4 Ways Racism in Health Care Is Still a Problem Today https://www.thoughtc[...] 2018-05-12
[142] 저널 Perceived Injustice and Adverse Recovery Outcomes 2014-11-01
[143] 저널 The role of perceived injustice in the experience of chronic pain and disabilit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2008-09-01
[144] 저널 Perceived injustice in chronic pain: an examination through the lens of predictive processing 2018-03-01
[145] 저널 Chronic pain experience and health inequ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Canada: qualitative findings from the chronic pain & COVID-19 pan-Canadian study 2021-06-01
[146] 저널 Grieving Life and Loss https://www.apa.org/[...] 2020-06-01
[147] 저널 Stigma, Liminality, and Chronic Pain: Mind-Body Borderlands https://www.jstor.or[...] 2005-01-01
[148] 저널 The Interactive Effects of Chronic Pain, Guilt, and Perfectionism on Work Outcomes 2010-01-01
[149] 뉴스 【直談 専門家に問う】愛知医科大学主任教授 牛田享宏氏/生活の質下げる慢性の痛み 運動・心理的療法も重要 日経産業新聞 2020-10-19
[150] 보고서 Overview of the treatment of chronic non-cancer pain http://www.uptodate.[...] UpToDate 2017-04-01
[151] Facebook
[152] 웹사이트 同一症状、同一患者が診療科により全く異なる診断、治療が行われている異常事態 http://p.booklog.jp/[...] Puboo 2015-06-22
[153] 서적 Bonica's Management of Pain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54] 서적 Pain management: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https://books.google[...] Elsevier
[155] 서적 Pain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https://archive.org/[...] American Academy of Pain Management
[156] 저널 Chronic widespread pain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2018-01-01
[157] 저널 The effectiveness and risks of long-term opioid therapy for chronic pain: a systematic review for 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thways to Prevention Workshop 2015-02-01
[158] 저널 Pain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2018-01-01
[159] 뉴스 Effective Coping of Chronic Pain Varies With Psychosocial Resource Profiles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1-02-15
[160] 저널 The Interactive Effects of Chronic Pain, Guilt, and Perfectionism on Work Outcomes 2010-01-01
[161] 저널 Chronic Pain, Psychopathology, and DSM-5 Somatic Symptom Disorder 2015-04-01
[162] 저널 A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for ICD-11 2015-06-01
[163] 서적 The nervous system and the heart https://archive.org/[...] Humana Press
[164] 서적 Bonica's management of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5] 서적 Diagnostic Methods for Neuropathic Pain: A Review of Diagnostic Accuracy Rapid Response Report: Summary with Critical Appraisal.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2015-04-01
[166] 서적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descriptions of chronic pain syndromes and definitions of pain terms https://archive.org/[...] IASP Press
[167] 저널 Mechanisms and management of neuropathic pain in cancer http://www.supportiv[...] 2010-05-03
[168] 서적 Nociceptive and neurogenic pain Pharmacia & Upjon AB
[169] 저널 Recent advances in elucidating pain mechanisms 2005-10-01
[170] 저널 Notch3 is necessary for neuronal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in the adult spinal cord 2014-10-01
[171] 저널 The brain in chronic CRPS pain: abnormal gray-white matter interactions in emotional and autonomic regions 2008-11-01
[172] 저널 Beyond feeling: chronic pain hurts the brain, disrupting the default-mode network dynamics https://archive.org/[...] 2008-02-01
[173] 저널 Brain resting state is disrupted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https://archive.org/[...] 2010-11-01
[174] 저널 Chronic pain ma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brain 2008-07-01
[175] 저널 Effectiv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in humans reverses abnormal brain anatomy and function 2011-05-01
[176] 저널 Neuromodulatory approaches for chronic pain management: research findings and clinical implications
[177] 서적 Chronic pain management: the essentials https://archive.org/[...] Greenwich Medical Media
[178] 서적 Pain management: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
[179] 서적 Pain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https://archive.org/[...] CRC Press
[180] 저널 Management of functional somatic syndromes 2007-03-00
[181] 저널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management of chronic pain 2006-05-00
[182] 저널 Medications for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an American Pain Society/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07-10-00
[183] 웹인용 Acetaminophen Monograph for Professionals https://www.drugs.co[...] 2020-06-30
[184] 저널 A turbulent decade for NSAIDs: update on current concepts of classification, epidemiology, comparative efficacy, and toxicity 2012-06-00
[185] 저널 Nonopioid medications for pain 2015-05-00
[186] 저널 Opioids in chronic noncancer pain-are opioids superior to nonopioid analges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fficacy, tolerability and safety in randomized head-to-head comparisons of opioids versus nonopioid analgesics of at least four week's duration 2015-02-00
[187] 저널 Nonopioid drugs in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2014-06-00
[188] 저널 Pain and Cancer: A systematic review 2015-05-00
[189] 저널 Amitriptyline for neuropathic pain in adults 2015-07-00
[190] 저널 Neuropathic pain: principl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2015-04-00
[191] 저널 A Systematic Review of Atypical Antipsychotics in Chronic Pain Management: Olanzapine Demonstrates Potential in Central Sensitization, Fibromyalgia, and Headache/Migraine 2018-06-00
[192] 저널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Chronic Pelvic Pain in Women 2017-03-00
[193] 저널 Therapeutic ultrasound for chronic low back pain 2020-07-00
[194] 저널 Assessing the rol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back pain
[195] 저널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s an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2012-11-00
[196] 저널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fibromyalg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13-04-00
[197] 저널 Acceptance- an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a meta-analytic review https://research.utw[...]
[198] 저널 Brie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for Acute and Chronic Pain: A Systematic Review 2019-03-00
[199] 저널 A literature review of Breathworks and mindfulness intervention 2018-00-00
[200] 저널 Starting where I am: a grounded theory exploration of mindfulness as a facilitator of transition in living with a long-term condition http://eprints.white[...] 2016-10-00
[201] 저널 Psychobiological correlates of improved mental health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after a mindfulness-based pain management program 2013-03-00
[202] 저널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nd Chronic Pain Outcome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6-00
[203] 저널 Psychological therapi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and recurrent pai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8-09-00
[204] 저널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for chronic pain in adults: an overview of Cochrane Reviews 2017-04-00
[205] 저널 Guideline for opioid therapy and chronic noncancer pain 2017-05-00
[206] 저널 Patient Outcomes in Dose Reduction or Discontinuation of Long-Term Opioid Therapy: A Systematic Review 2017-08-00
[207] 저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athways to Prevention Workshop: the role of opioid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2015-02-00
[208] 저널 Opioids for chronic noncancer pain: a position pap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2014-09-00
[209] 저널 Incidence of iatrogenic opioid dependence or abuse in patients with pain who were exposed to opioid analgesic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6-00
[210] 서적 Sleep Disorders
[211] 저널 Severe chronic pai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10 year mortality. A cohort record linkage study 2010-04-00
[212] 저널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stress axis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chronic widespread pain and its antecedent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